ARCHIVES 169

비트나인, 그래프 기술 기반 이상행위탐지시스템 'G-FDS' 출시

전자통신 및 전자상거래 환경 사기 범죄 탐지에 활용 [데이터넷]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연구·개발 기업 비트나인(대표 강철순)는 그래프 기술 기반의 이상행위탐지시스템 ‘G-FDS’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G-FDS는 그래프 FDS 엔진인 ‘아젠스(Agens) G-FDS’와 저장소인 ‘아젠스그래프(AgensGraph)’로 구성된다. 그래프 분석이 가능한 데이터 모델링 서비스, 신규 데이터 생성 및 기존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데이터 유형에 맞춤화된 FDS 엔진 적용 서비스까지 제공한다. G-FDS의 특징은 정형화된 패턴 외에도 비정형 데이터까지 가설 패턴 기반의 고도화된 알고리즘을 통해 탐지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일반적인 FDS는 정형화된 룰에 기반해 이상행위를 탐지한다. 블랙리스트와의 IP, MAC 등의..

ARCHIVES 2020.10.14

[알쓸IT잡]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을 아우르는 확장현실(XR, eXtended Reality)

나이앤틱(Niantic)은 2016년 7월에 위치 기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모바일 게임인 ‘포켓몬 GO’를 출시했다. 이 게임은 스마트폰에 있는 GPS를 통해 실제 세계에 포켓몬과 세계관 내에 존재했던 시설들을 구현했다. 8090세대에게는 다시 한번 포켓몬에 대한 추억의 향기를 느낄 수 있었던 혁명적인 게임이다. 게임 유저들은 실제로 만화 및 게임 속의 주인공이 되어 출퇴근 및 산책을 하면서 어릴 때 한 번쯤 상상했던 포켓몬 트레이너가 되는 꿈을 실현할 수 있었다. 증강현실과 비슷한 개념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과 혼합현실(Mixed Reality)이 있고, 세 가지 현실을 포괄적으로 부르는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이 있다. ..

ARCHIVES 2020.10.13

[알쓸IT잡] 5G,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열쇠

바야흐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었다. 그간 글로만 읽고 말로만 들어왔던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달 속도는 무서울 정도다. 우리가 사는 현재에는 주변의 사물이 서로 연결되고 사이버 네트워크에는 온갖 데이터의 트랜잭션(처리 작업)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를 맞아서는 ‘언택트’ 기술까지 등장하며 생활에서 ICT를 경험하는 것이 점차 일상화되어가고 있다. 5G는 개인간 통신을 넘어 사물인터넷(IoT) 시대를 이끌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이룰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평가받는 가장 대표적인 ICT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는 지난 9월, ‘배터리 데이’에서 완전 자율주행차를 한 달 안에 공개할 것임을 발표했다. ..

ARCHIVES 2020.10.08

[인터뷰] "오픈소스로 글로벌DB 기업 꿈꿔요"

"오픈소스로 글로벌DB 기업 꿈꿔요" 강철순 비트나인 대표 [아이뉴스24 김국배 기자] 국내에 오픈소스 소프트웨어(SW) 기업은 드물다. 오픈소스 개발 생태계를 형성하는 것 자체가 어렵고, '오픈소스로 돈을 벌 수 있을까'하는 의구심이 여전해서다. 오픈소스 기업이 거액에 인수되고 잇따라 기업공개(IPO)까지 성공하는 해외와는 대비된다. 그런데 최근 국내 데이터베이스(DB) 회사 비트나인이 오픈소스 기업으로의 행보를 본격화하고 나섰다. 애써 개발한 그래프DB의 소스코드를 오픈소스로 공개한 것이다. 강철순 비트나인 대표는 최근 기자와 만나 "오픈소스 상용화에 성공해 국내에서 오픈소스에 관한 인식을 바꾸는 계기를 마련하고 싶다"고 밝혔다. 2013년 설립한 비트나인은 현재까지 누적 투자액 100억원 이상을 기..

ARCHIVES 2020.09.21

아직도 관계형 DB만 쓰고 계신가요?

[바이라인네트워크, 심재석 기자] 최근 IT업계의 최대 화두 중 하나는 ‘애플리케이션(앱) 현대화’다. 이를 위해서는 모놀리식(Monolithic) 아키텍처를 버리고 MSA(Microservice Architecture)로 도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나의 통에 모든 구성요소를 담는 것(모놀리식)이 아니라, 레고블록처럼 작은 서비스를 여러 개 만들어 놓고 이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자는 접근법이다. MSA는 잘만 구성되면 시스템의 안정성, 확장성, 유연성, 생산성 등의 면에서 모놀로식 아키텍처보다 장점을 가진다. 이런 MSA의 특징 중 하나는 다양한 종류의 DB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는 오라클과 같은 대규모 DB를 구축하고 각 노드(서버)가 이 DB를 공유하는 ..

ARCHIVES 2020.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