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용성(High Availability)이란?
소프트웨어 제품이나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 있어 안정적인 운영을 유지하고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예기치 않은 시스템 중단이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매출 손실, 생산성 저하, 고객 불만 등 다양한 위험이 따르게 됩니다.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절대 고장이 나지 않는’ 높은 가용성(Availability)을 갖춘 시스템이 필수적입니다.
가용성은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거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시스템의 가동률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가용성은 전체 사용 가능 시간(Uptime+Downtime) 중에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가동 시간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시스템의 가용성이 높다고 평가되며, 이를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이라고 부릅니다.
세상에 100% 가용성은 없다
그러나, 가용성을 최대한 완벽에 가까운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는 있습니다. 보통, 고가용성은 99%에서 99.9999%와 같은 백분율로 표현됩니다. 단순히 백분율만으로 보았을 때, 99%와 99.9999% 사이의 차이가 크게 와닿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퍼센티지에 따른 불가용성(unavailability), 즉 연간 시스템 다운타임을 계산해보면, 비즈니스 연속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당한 시간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
가용성 % | 연간 다운타임 | 월간 다운타임 | 주간 다운타임 | 일일 다운타임 |
99% | 3.65 일 | 7.31 시간 | 1.68 시간 | 14.4 분 |
99.9% | 8.77 시간 | 43.83 분 | 10.08 분 | 1.44 분 |
99.99% | 52.6 분 | 4.38 분 | 1.01 분 | 8.64 초 |
99.999% | 5.26 분 | 26.3 초 | 6.05 초 | 864 밀리초 |
99.9999% | 31.56 초 | 2.63 초 | 604.8 밀리초 | 86.4 밀리초 |
99%의 가용성을 가진 시스템은 연간 3일 동안 다운될 수 있으나, 99.9999%의 가용성을 확보한 시스템은 연간 다운타임을 단 30초로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의 경우 일시적인 서비스 중단이 발생해도, 서비스가 복구되기까지 고객이 거래를 잠시 미루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100%에 가까운 가용성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면, 스트리밍 서비스, 항공사, 증권사 등은 미션 크리티컬한 시스템을 운영하며, 다운타임이 길어질수록 비즈니스에 큰 재정적 손실과 및 평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용성의 백분율이 100%에 가깝게 유지될수록 이런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고가용성은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액세스의 다운타임을 최소화하며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이는 비트나인의 아젠스SQL 엔터프라이즈 패키지에 포함된 기능 중 하나입니다.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와 고가용성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비트나인이 자체 개발한 Agens High Availability Manager(이하 AHM)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은 2024년 비트나인의 세 번째 월간 백서인 '안정적인 비즈니스의 핵심, 고가용성의 중요성'의 도입 부분을 일부 담았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링크를 눌러 확인해 주세요!
▶더 읽어보기
오라클 호환성 지원하는 PostgreSQL 기반 엔터프라이즈 DBMS AgensSQL
비트나인의 콘텐츠를 계속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제품 및 기술문의
070-4800-3517 | agens@bitnine.net
'POSTGRESQL >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아는 DBMS 튜닝 이야기 하지만 어려운 튜닝-1편 (2) | 2024.06.14 |
---|---|
[백서 프롤로그] 그래프 기술이 만드는 차원이 다른 생성형 AI (0) | 2024.04.30 |
[백서 프롤로그]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선택 시 고려해야 할 6가지 (0) | 2024.02.29 |
[백서 프롤로그] 오픈소스 DB 전성시대, 기업들이 선택하는 데이터베이스는? (0)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