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의 양은 증가하고 있으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한 언택트 문화 확산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 데이터 트래픽이 최근 2년간 약 2.5배 급증한 상황에서 기업은 데이터베이스를 단순 수집, 저장용으로 이용하는 것을 넘어 대고객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의 지속성이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즉, 서비스가 죽지 않고 계속 살아있는 ‘고가용성’의 고려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면서 서버가 중단되는 현상이나 재해가 일어나 서버가 멈추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예기치 않은 상황으로 서비스가 다운되면 서비스가 중단되고,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서비스가 단 1~2분 중단되더라도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금전적 손실과..